하루를 아무리 길게 살아도, 결국 우리는 잠으로 하루를 마무리합니다. 그런데 이 잠이 몸을 망치고 있다면 어떨까요?
💤 수면 장애 vs 수면 무호흡증 vs 코골이
헷갈리기 쉬운 세 가지 개념부터 정리해 보겠습니다.
- 수면 장애: 불면증, 주간 졸림, 주기적인 각성 등 잠과 관련된 전반적인 문제를 포함합니다.
- 단순 코골이: 대부분은 해롭지 않지만, 소리가 크고 불규칙하면 수면 무호흡증의 전조일 수 있습니다.
- 수면 무호흡증(OSA): 수면 중 호흡이 수초 이상 멈추는 현상으로, 반복되면 심혈관질환, 당뇨, 치매 위험이 높아집니다.
💡 수면 무호흡증, 이런 사람에게 자주 발생합니다
다음에 해당된다면 주의가 필요합니다:
- 비만하거나 목둘레가 굵은 사람
- 턱이 작거나 뒤로 들어간 얼굴 구조
- 40세 이상 남성
- 과음하거나 수면제를 복용하는 사람
- 코막힘, 알레르기 비염, 편도 비대가 있는 사람
- 심한 코골이로 파트너의 수면까지 방해하는 경우
잠을 자도 개운하지 않거나, 낮에 졸음이 심하게 온다면 단순 피로가 아니라 수면 무호흡증일 수 있습니다.
🩺 수면 무호흡증 치료 방법
증상의 정도에 따라 치료법은 다양합니다.
- 생활 습관 개선
- 체중 감량
- 금주 및 금연
- 옆으로 자는 자세 유지
- 수면제·진정제 사용 줄이기
- 노래 부르기
- 입,혀바닥 운동
- CPAP(양압기) 사용
- 마스크를 착용해 공기를 불어넣어 기도를 열어주는 장치
- 가장 보편적이고 효과적인 치료법
- 구강 장치(마우스피스)
- 턱을 앞으로 당겨 기도를 넓히는 장치
- 경증 또는 중등도 수면 무호흡증에 효과적
- 수술적 치료
- 편도 제거, 비중격 교정술, 기도확장 수술 등
- 구조적인 문제가 있는 경우 선택
- 이비인후과, 수면 클리닉 진료
-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정확한 진단이 필요합니다.
- 건강보험이 적용되는 경우도 많으므로 부담이 적습니다.
❗ 방치하면 어떤 일이 생길까?
수면 무호흡증은 단순한 잠 문제를 넘어 생명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.
- 고혈압, 심장질환, 뇌졸중 위험 증가
- 당뇨병 발병률 상승
- 주간 졸음 → 교통사고 위험 증가
- 기억력 저하, 집중력 감소
- 우울증 및 불안장애와 연관
📝 마무리하며
코골이가 단순한 습관이라고 생각했다면, 지금부터는 다르게 보셔야 합니다.
밤마다 숨이 멎는 수면 무호흡증, 조기 진단과 치료가 삶의 질을 결정합니다.
'건강-운동 > 건강한 습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두뇌 건강 영양제, 포스파티딜세린이란? (6) | 2025.07.13 |
---|---|
수축기·이완기만 보셨나요? 맥압이 더 중요합니다 (5) | 2025.07.10 |
와파린 복용 중이라면 피해야 할 음식, 의외로 청국장? (4) | 2025.07.04 |
핏줄 건강을 지키는 두 가지 식재료, 귀리와 깻잎 (8) | 2025.07.03 |
비당뇨인의 연속혈당측정기 사용, 정말 필요할까? (6) | 2025.06.2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