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년을 65세로? 한국노총의 국민청원이 던진 질문

고령화 시대, 퇴직 후 5년의 공백을 견딜 수 있을까요?


✅ 정년 연장, 다시 불붙은 논쟁

최근 한국노동조합총연맹(한국노총)이 법적 정년을 현재 60세에서 65세로 늘리자는 국민청원을 국회에 제출했습니다. 이 청원은 고령화와 국민연금 수급 연령 현실을 반영한 요구로, 5만 명 이상의 동의를 받아 국회 상임위원회에 회부되었습니다.

노동 현장의 숙련된 인력이 단지 ‘나이’ 때문에 퇴장해야 하는 지금의 구조를 바꾸자는 목소리. 과연 실현 가능할까요?


✅ 왜 65세인가?

현재 국민연금 수급 개시 연령은 65세입니다. 반면 법정 정년은 60세. 이 사이 발생하는 5년의 소득 공백은 수많은 은퇴자들의 현실적인 고민입니다.

정년이 연장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:

노후 소득 안정

국민연금 수급 전 공백 해소

고령자의 경제활동 참여 확대


✅ 반대의 목소리도 있다

하지만 모두가 찬성하는 건 아닙니다. 청년층은 정년 연장이 채용 기회 축소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. 기업 입장에서도 인건비 부담 증가가 불가피하다는 점에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있습니다.

정년 연장은 고령자의 ‘권리’일까, 아니면 기업의 ‘부담’일까? 사회적 합의가 필요한 시점입니다.


✅ 청원 참여 방법은?

정년 연장과 같은 중요한 정책 변화에 목소리를 내고 싶다면, 아래 국민청원 플랫폼을 이용해보세요.

국회 국민동의청원
https://petitions.assembly.go.kr


행정안전부 청원24
https://www.epeople.go.kr


대통령실 국민제안
https://www.epeople.go.kr/president



30일 이내 5만 명의 동의를 받으면 국회에서 정식 논의가 시작됩니다.



✅ 마무리하며

정년 연장 논의는 단순히 퇴직 시점을 조정하는 것이 아니라, 개인의 삶의 질, 세대 간 일자리 배분, 연금 제도와도 맞닿아 있습니다. 찬반을 떠나, 변화의 흐름 속에서 나와 우리 사회가 어떤 방향을 택할지 고민해야 할 시기입니다.



#정년연장국민청원 #60세정년65세 #공무원정년연장 #국민연금수급연령 #고령자고용법개정 #노후소득공백 #국회국민동의청원 #한국노총정년청원 #청원24참여방법 #정년연장찬반의견





+ Recent posts